직장인 경제39 [교대제 (3조3교대)] 근무제의 휴식시간, 야간수당, 주휴수당 정리하고 급여를 계산해 보세요! 3교대의 근로기준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교대제(3조3교대) 근로기준법상 규정되어 있는 휴게시간과 관련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최근 주 52시간 제도 도입 등 여러가지 이슈들이 발생하면서 법정휴게시간 및 가산임금 지급여부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적용 시기가 다르므로, 이 부분도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법령에 따르면, 5인 이상의 사업장이라면 모두 해당되는 내용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의를 위해 3교대 근무자들이 급여를 계산하기 편한 웹사이트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교대제(3조3교대) 근로기준법상 1일 8시간 이상 근무 시 휴식시간 보장의무가 있나요? 근무제에 따라 휴게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근무제인 정상 근무제(주 5일 근무,.. 2023. 7. 8. [정직원 전환] 근속 2년 이상 기간제 및 계약직 근로자가 취해야 할 행동, 상용직 전환의 장점과 제약 사항 2023년부터 시행될 고용보험법 개정안이 대한민국 근로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개정안에는 기간제 및 계약직 근로자들이 연속으로 2년 이상 고용되면 상용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규정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상용직 전환은 그만큼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정직원 전환은 기간제 및 계약직 근로자의 근로 권리 보호와 사회 통합을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정직원 전환 관련 정보를 숙지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상용직 전환이란? 상용직 전환은 기간제, 계약직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하면 정규직이 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기간제, 계약직 근로자들이 고용의 불안정함과 일정하지 못한 급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 중 하나입니다. 고용보험.. 2023. 7. 4. [월급제 VS 연봉제] 한국의 임금제도 어떤 것이 더 적합한 선택일까, 취업시 경력 개발에 맞는 임금제도 선택의 중요성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임금제도는 월급제입니다. 월급제는 매월 일한 시간에 대한 보상금을 상시적으로 받으며, 고정된 급여를 고용주가 지급합니다. 그러나 월급제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성과 보상 제도인 연봉제도 있습니다. 어떤 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월급제와 연봉제를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그 선택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겠습니다. 월급제의 특징 월급제는 매달 고정된 금액을 받는 임금 체계입니다. 장점으로는 매달 일정한 수입을 예상할 수 있어 안정적인 생활을 계획하기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근무 시간과 연관되어 보다 정확하게 임금을 계산할 수 있으며, 복잡한 성과 평가 시스템 없이도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성과에 따른 보상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2023. 7. 3. 이전 1 ··· 7 8 9 10 다음